본문 바로가기
업계동정

[관련기사 1면에 이어] ---- 대기업은 자동차부품재제조업에 진출하지 말라

by 교통환경 스토리 2011. 6. 9.

자동차부품재제조 중소기업 적합업종품목 신청

글로비스가 재제조업을 “공들인 신사업”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지적했다.

글로비스가 재제조업을 신사업이라고 하면서 공들였다고 하지만 사실은 기존의 재제조업체들이 어렵게 운영해 오던 것을 힘들이지 않고 가로채려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재제조업계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자동차 제작사로부터 불량품제조업체라는 오명으로 극심한 단속을 받으며 기업을 유지해왔다.

글로비스는 현대그룹의 물량 밀어주기로 급성장한 대기업으로 기존 화물업계에서도 내부자거래라는 불공정거래의 구설수에 올랐던 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역시 자동차 제작사라는 막강한 배경을 앞세워 영세 제조업체의 시장을 차지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재제조협회는 그동안 소비자의 자동차정비요금 부담률을 줄이고 자동차부품의 자원순환에 크게 기여해 왔다.
재제조협회는 지식경제부로부터 과제사업으로 전국 A/S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재제조산업의 실정을 반영한 부품공급/ 유통/판매/재고관리 및 정산업무 시스템은 저탄소 녹색성장 추구라는 정부정책의 성공, 소비자 권익 및 재제조 산업발전 등 큰 파급효과가 예상되고 있다.
경제적 간접개선효과로 년간 ▶1만5천명의 고용창출 효과 ▶400만개의 자동차 자원순환 기여(폐기물 감소) ▶소비자 자동차 수리비용 감소-60~70% 비용 감소(자동차 재제조품 가격은 신품 대비 30~40% 수준)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경제와 환경에 기여하는 파급효과가 지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재제조협회에 따르면 재제조업체는 전국적으로 약 2천여개 업체로 추정되며 평균 종사자는 7명 수준의 전형적인 중소기업에 속한다고 밝혔다.
자동차재제조협회는 2005년 환친법 개정으로 저탄소녹색성장을 위한 자원재활용의 요구에 따라 자동차재제조업이 합법화되면서 2006년 34명의 발기인이 모여 설립했으며 작년에 지식경제부로부터 사단법인 인가를 받은 단체다.
김국곤 회장은 영세 “재제조업체들을 단속하고 없애려고 했던 대기업이 직접 재제조 시장에 뛰어들겠다고 하는 것은 이윤만을 추구하는 염치없는 모습” 이라고 비판했다.
정운찬 위원장은 동반성장위원회가 민간부문의 합의도출을 통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에게 상호이익이 되도록 조정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재제조산업이 중소기업 적합업종 품목이 될 지 안될 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제 공은 동반성장위원회로 넘어갔다.

/ 이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