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빌리티/자동차관리

정비업 선진화 걸림돌 “통값”

by 교통환경 스토리 2009. 10. 13.

-통차 의존 정비업계 자정노력 절실
-낮은 정비공입 정부 지원책 있어야

아직도 통차 물량에 의존하고 있는 정비업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정비업계의 자정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통차” 란 사고차량 발생 시 사고정보를 통신으로 서로 연락하면서 움직이는 견인차가 가져다준 정비차량을 말한다.

사고차량에 관한 정보는 주변에서 이동하고 있는 버스, 택시 화물차 등 주로 영업용 차량을 통해 접수된다.

연락 사무실에 사고차량 정보를 주면 연락비로 통상 5만원에서 20만원까지 받는다.

통차가 사고차량을 견인하여 정비업체에 넘기면서 받는 것이 소위 “통값”이다. 통값은 차량의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50만원 전후이거나 정비공임의 30~40% 정도라고 한다.

통차들이 받는 한달 통값 수입은 많게는 1000여만원, 보통 200~300만원으로 알려지고 있다.

통값은 정비업체에서만 받는 것이 아니다. 환자를 병원에 소개할 경우 병원으로부터도 받고 렌트카를 사용할 경우 사용료의 몇%를 받기도 한다.

심지어 음주운전일 경우 적당히 무마해 주면서도 받고 외제차의 경우에는 통값도 천차만별이다.
통값을 지불한 정비업체는 사고 차량 수리비에서 통값을 뽑아야 한다. 몇 해 전 서울 개포동 B공업사의 경우 사고난 차량을 손상부위 외까지 확대정비를 하면서 실제로 교환하지도 않은 멀쩡한 부품 값까지 받아 막대한 이익을 올리다 덜미가 잡혀 구속된 사실이 뉴스에 대대적으로 보도된 적이 있었다.
통값은 확대정비를 부른다. 

앞 판넬만 손상된 차량일 때 정비공임이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보통 40~50만원 정도인데 통값 30만원을 주고 나면 남는 게 없다.

차 구조를 잘 모르는 차주에게 멀쩡한 휠 하우스가 손상됐다고 설명하고 크러쉬 패드(속칭 다시방)와 엔진을 탈착하고 휠 하우스를 절단하고 새 부품으로 용접한다. 정비 공임이 50만원에서 130~140만원까지 올라간다.

프레임까지 손상됐다고 하면 200만원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교환부품 값까지 포함하면 정비요금은 눈덩이처럼 커진다. 극히 일부 정비업체에서만 있을 법한 일이지만 많은 정비업체가 이로 인해 의심받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물론 대부분의 정비업체는 확대정비를 하지 않는다.
기자가 성남 S공업사에 방문했을 때 조수석 프레임과 휠하우스가 손상된 아반떼XD 36머 XXXX 차량이 입고되었다. 잘라서 교환할 경우 작업시간은 2시간 소요된다. 반면 원상을 회복하려고 판금을 하면 3~4시간이 소요된다. 문제는 판금을 하면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정비공임이 적다는 데 있다.

잘못된 공임체계가 판금보다는 교환 쪽으로 기울게 한다.

사실 교환은 소비자에게 2중 3중의 부담을 준다. 보험료가 할증되고 중고차로 팔 때 제 값을 못 받을 뿐만 아니라 부품 값까지 포함하는 보험료 과잉 지급 발생으로 선량한 많은 보험가입자들에게 피해를 준다.
S공업사 C공장장은 소비자와 사회적 정의를 위해 판금을 택했다.

교환 대신 판금을 할 경우 기술료 명목으로 정비공임을 좀 더 지불해 주지만 보상으로는 미흡한 실정이다. 자원 재생과 사회적인 이익증대를 고려할 때 좀 더 과감한 지원책이 필요하다.
S공업사도 초기에는 8개월 정도 통차 물량을 받아 정비를 했다고 했다.

일감이 없어 직원 급여 등 경비를 충당하려고 어쩔 수 없이 했지만 통값을 지불하고 확대정비를 하지 않아 계속 적자를 보다가 지금은 중단했다고 했다.
영세한 정비업체에게 통차 물량은 “필요악”이다. 사고차량을 연락해주는 대가로 받는 연락비가 통상 1대 당 5만원 수준인데 정비업체가 밀집된 수원, 안양, 용인 지역은 15만원에서 20만원까지 된다고 하니 아직도 통차 물량에 의지하는 정비업체가 있다는 반증이다.

연락비가 높은 만큼 통값도 높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손해보험사로부터 현장 출동을 위탁받은 개인업체 M사, S사의 경우에도 일부 출동 견인차량이 손보사로부터 받는 견인비용이 소액이라는 이유로 통값을 더 많이 주는 정비업체로 사고차량을 돌리는 통차 구실을 하고 있는 것도 공공연한 비밀이다.
통차 물량에 지급되는 통값은 대다수가 확대 정비로 이어지고 소비자와 정비업계 모두에게 피해로 고스란히 되돌아 온다. 정비업계의 자정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J 공업사 Y 사장은 “예전에는 일부 극소수 업체에서 통값으로 인한 확대정비가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것으로 안다” 고 말하면서 “정비업계에 좋지 못한 이미지를 주고 있는 통값 시비는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되며 정비업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 이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