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업계동정/기자수첩

[기자수첩]----------자동차블랙박스 시장 과열심각

by 교통환경 스토리 2009. 10. 13.

성급한 선택 이중 부담 될수도
자동차 블랙박스 시장이 과열되면서 우려의 목소가 커지고 있다.
최근 사업용 차량(택시, 버스, 트럭)에 대해 블랙박스 생산업체들의 지나칠 정도의 판촉활동이 도를 넘어섰다는 여론이다.
30개 이상 난립해 있는 블랙박스 제조사, 액세서리 장식품 수준으로 전락한 저가 블랙박스 등은 관련업계를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이 같은 과열의 중심에는 사업용 사고차량에 대해 앞으로 교통안전법 개정에 근거해 사고영상물(블랙박스/디지털 운행기록계)을 제출해야 된다는 데 발 빠른 예측에서이다.
자동차용 블랙박스는 자동차에 부착되어 교통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운전조작에 따른 자동차의 상태를 기록 저장해 자동차 사고 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과학적 사고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최근의 자동차용 블랙박스는 디지털 운행기록계와 함께 일정기간의 운행기록 저장, 사고 전후의 일정시간 영상 기록, 자동차 ECU(컴퓨터)와 연동해 사고 시 차속, 악섹페달 량, 엔진회전수, 브레이크 조작 상태, 조향각 등 다양한 정보를 기록 저장한다.

 이외에도 GPS이용이나 사고발생시 통신망을 이용한 응급신호 송출, 긴급구난 요청 등이 가능하게 하기도 한다.

해외 일부국가에서도 자동차 블랙박스의 기술 표준화 및 장착의 의무화를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최근과 같은 블랙박스 시장의 과열은 기술적 검증이나 표준화 없이 무분별하게 생산되고 있어 목돈 들여 구입한 블랙박스가 고철박스가 되어 다시 구입해야하는 일이 생길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재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규격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국가규격(KSR5076 : 자동차용 사고기록장치)을 따르고 있지만 이것은 사고 전후 수십초 간의 차량속도, 가속페발(RPM/엔진분당 회전수), 브레이크 신호만을 저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정보만으로는 정확한 사고분석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한 시중에서 무분별하게 유통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정확한 기술인증이나 데이터 검증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우리나라는 교통사고로 인한 인적, 물적, 사회적 비용이 연간 약 10조원에 이른 현실을 감안 할 때 자동차 블랙박스 부착의무화는 반길만한 일이다. 그리고 사고발생시 당사자 간 분쟁, 목격자 부재 등은 신속한 교통사고 처리를 어렵게 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동차 블랙박스는 교통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에 매우 긍정적 기능을 갖고 있지만 각 생산자 마다 다른 통신 기술사양이나 자동차 ECU에서 더 필요한 정보는 없는지 IT 강국답게 국제 경쟁력까지도 생각하는 기술표준과 생산업체의 인증이나 관리감독까지 신중히 생각해야 할 것으로 본다.
/ 이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