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환경/교통안전

한국 국가경쟁력 25위…전년대비 6단계 하락

by 교통환경 스토리 2013. 9. 11.

세계경제포럼(WEF)의 2013년 국가경쟁력 평가

WEF는 지난 4일 "올해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148개국 중 25위로 지난해보다 6단계 하락했다"고 밝혔다. WEF의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는 2008년 13위, 2009년 19위, 2010년 22위, 2011년 24위로 매년 하향곡선을 그리다 2012년 19위로 반등한 뒤 올해 다시 떨어졌다.
분야별로 보면 '기본요인'이 18위에서 20위로, '효율성 증진'이 20위에서 23위로, '기업혁신 및 성숙도'가 17위에서 20위로 각각 2~3단계씩 하락했다.
'기본요인' 분야에선 '거시경제 환경'만 10위에서 9위로 한 단계 올랐다. 제도적 요인(62위→74위), 인프라(9위→11위), 보건ㆍ초등교육(11위→18위)은 순위가 내려갔다.
'효율성 증진' 분야에선 고등교육 및 훈련(17위→19위), 상품시장 효율성(29위→33위), 노동시장 효율성(73위→78위), 금융시장 성숙도(71위→81위), 기술수용 적극성(18위→22위), 시장규모(11위→12위) 등에서 모두 순위가 하향 조정됐다.
'기업혁신 및 성숙도' 분야에서도 기업활동 성숙도(22위→24위) 및 기업혁신(16위→17위) 모두 순위가 하락했다.
12개 부문별로 살펴보면, 거시경제 환경(9위)ㆍ인프라(11위)ㆍ시장규모(12위)ㆍ기업혁신(17위)ㆍ보건 및 기초교육(18위)ㆍ고등교육 및 훈련(19위) 등 6개 부문은 20위권 이내를 기록해 강점 요인으로 꼽혔다.
기술수용 적극성(22위)ㆍ기업활동 성숙도(24위)ㆍ상품시장 효율성(33위) 등 3개 부문은 20~30위권으로 우리의 경쟁력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제도적 요인(74위)ㆍ노동시장 효율성(78위)ㆍ금융시장 성숙도(81위) 등 3개 부문은 70위권 밖으로 밀려나 취약부문으로 지적됐다.

/ 김형욱 기자